* 우선 책 읽는 목적과 뜻을 분명히 하세요.
* 3QSR 독서법은 전공서를 읽을 때 유용합니다. 3QSR 독서법으로 책을 읽은 뒤 비평글을 써보세요.
1) 훑어보기 : 무엇에 관한 책인가, 어떤 구성인가.
2) 질문하기
3) 읽기 : 분석적 읽기 후 통합적 읽기, 통합적 읽기는 비슷한 분야의 다른 책과 비교하며 읽는 독서법입니다. 독서 시 내용을 모르는 부분은 제목/소제목/내용 순서로 적어두세요.
4) 되새기기
5) 검토하기
* 교양서(문학, 철학, 사상, 역사 등)를 읽는 법
1) 문학 : 함축된 의미 읽어내기, 어휘력이 늘어나는 효과, 카타르시스를 느낌,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됨
2) 인문학서 : 과거의 사상이 사회에 끼친 영향을 알 수 있음, 사회를 바라보는 나만의 관점이 생길 것. 인문학을 현실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?
3) 자연과학서 :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사고가 발달하는 효과, 폭넓은 사고가 생길 것,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사고의 확정에 도움이 됨.
4) 실용서 : 당장의 필요에 의해 많이 읽게 됨. 편파적으로 읽어서 무조건 자신에게 적용시키지는 말자.
* 독서노트 만들기
- 독서 후 내용을 떠올릴 수 있는 경우는 10% 미만.
1) 인문, 사회분야 독서노트 만들기
- 책의 저자, 제목, 원제를 적는다.
- 읽은 날짜를 기록한다.
- 핵심 단어, 키워드를 인용하여 적어둔다.
- 다른 사람에게 소개할 수 있을 정도로 내용을 정리해둔다.
- 책을 통해 얻은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정리해둘 것.
- 저자와 주장이 다르면 논리적으로 반박해두기.
- 독서노트를 통해 자신이 읽은 책들을 정리해두는 습관이 필요함.
2) 자연, 기술과학 독서노트의 예
책이름 |
시간의 역사 |
지은이 |
스티븐 호킹 |
출판사 |
까치 |
읽은시기 |
2013년 10월 |
책 소개 |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
|
|
|
|
|
저자 소개 |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|
|
|
|
|
|
|
* 정보
- data -> 정보(information) -> 지식 -> 지혜(wisdom)
- 데이터에서 일정 패턴을 찾아내 의미를 부여하여 가공한 2차 데이터가 ‘정보’다.
- 정보 리터러시란, 정보의 요구가 필요한 시기를 알고 논제나 과제를 위한 정보를 식별하고 검색하고 평가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. 내가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 인지하고 그 정보를 탐색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지식 생산에 적용하여 관리하는 등의 전반적인 정보활용 능력을 말한다. 이는 일생동안 계속 발전시켜야 하는 능력이다.
- 정보 활용 시, 핵심 단어를 중심에 써 놓고 마인드맵을 만들자.
* 정보 활용 순서
1) 키워드 결정
2) 정보 범위 결정
3) 정보원과 검색도구 선택 : 1차 정보원은 단행본과 논문, 연속간행물, 연구보고서, 마이크로 영상자료. 2차 정보원은 1차 정보원을 가공, 편집해서 만든 자료.